지극히 일상적인, 지극히 철학적인 그림자들 속을 유영(遊泳)하다

지극히 일상적인, 지극히 철학적인 그림자들 속을 유영(遊泳)하다

곽남신은 따뜻하고 부드러운 인성의 작가다. 최근 그는 입체, 설치, 판화 등의 다양한 장르를 뒤로하고, 실루엣으로 드러나는 인물들을 주로 다루는 평면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윤곽선 안에 숨은 형상은 지극히 단순하지만, 그런 심플한 <바라보기>를 담은 이번 전시는 작가의 일기와도 같은 스펙타클(spectacle)의 기록이다.

<그림자 속의 여러 층위를 바라 보다>
일상에선 대수롭지 않게 여기지만, 시각매체에서 유난히 각광받는 요소가 있다. 바로 그림자이다. 수많은 회화나 영화, 사진에서 그림자는 특이한 기능을 한다. 평면의 윤곽선으로만 드러나는 그림자는 실루엣 뒤에 가려진 구체적 형상 -그것을 실체라 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을 가리켜주는 일종의 기호로서, 실체로부터 떨어질 수 없지만, 그것으로부터 소외된, 이중적 성격을 갖는다.
또한 그림자는 광선, 시간, 물리적 주변 환경으로 인해, 실체의 형상으로부터 자유로운 유동성을 드러내기도 하는데, 이런 점으로 인해, 그림자는 관객의 ‘보는 것’과 ‘아는 것’ 사이의 연상과 추측의 작용을 발생시킴으로써 매력적인 요소가 된다. 대상의 한 부분이지만, 전체를 가늠하게 하는 그림자는, 그래서 ‘환유(비유)’와 ‘메타포(상징)’’라는 두 가지 기능을 충족시킨다.

평면위에 단색의 실루엣으로 이미지를 표현하는 곽남신은 그림자의 그런 다양한 성격을 이용하는 듯하다. 대상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실루엣의 본질은 그것이 연상이든, 상징이든, 실제의 그것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거리와 소외에 있다. 곽남신은 그림자처럼, 우리가 사는 사회와 인간, 이미지들에게 벗어날 수 없는, 본연적으로 연결된 작가이며, 인간적 시선의 소유자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우리가 일상에서 목격하는 이미지들이고, 이는 대중매체나 간접적 소스를 통해서 보편적으로 감지되는 모습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인터넷에서 가장 왕성한 포르노그라피 속의 여인들, 춤추거나 입 맞추고, 운동하거나 싸우는 우리 주변의 사람들이 곽남신 작품의 주인공들이다. 그러나 작가의 애정 어린 관심은 대상들을 직접 공격하거나 파고들지 않고, 대상으로부터 적당한 거리를 둔다. 그들과 완벽하게 동일시 될 수 없는 감정의 거리, 형식의 거리, 물적 거리를 둔 채, 의미의 폭을 확장하려는 작가의 태도는, 그 간극을 채워 줄 관객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호성을 갖는다. 작가에게서 관객에게로 전이된 작품 완성의 고리는 1960년대 이후 미니멀리즘과 개념미술을 전후로 확립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관객들은 작품 앞에서 수동적일 수밖에 없다. 곽남신의 단순한 실루엣 안에 숨은 몇 겹의 이미지는, 구조적으로 관객의 참여를 보장해준다.

사진을 통해 초현실주의를 성공적으로 예술화시켰던 만레이(Man Ray), 그는 광선의 효과로 인해 실루엣이나 특이한 텍스추어가 새겨지는 레이오그라프(Rayograph)를 자주 제작했다. 이후 포토그램(photogram)으로 변화하는 레이오그라프는 사진기 없이 오브제의 형태를 광선과 시간의 흔적을 통해 표현하는 매우 특이한 방식이다. 어두운 톤의 정도가 달라지지만, 흑백의 윤곽선으로만 나타나는 이런 이미지 제작은 사진처럼 구체적 재현을 전달하지 않음으로써, 관객과 작품, 작가 사이에 무수한 의미 해석과 소통의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만 레이는 시각적 이미지가 결정되는 순간을 연기시킬 수 있도록, 애매하고 모호한 형상을 강조함으로써 이미지의 가능성을 실험할 뿐 아니라, 관객이 더 많은 형상의 원전들을 연상하거나 추리하도록 했다. 낯 선 이미지 뒤에 숨은 다양한 해석의 개입이야말로 만 레이가 레이오그라프에서 발견한 미덕일 것이다.

곽남신의 작품은 만 레이의 초현실주의 작품들처럼 관객에게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그러나 상상력을 목적으로 하는 레이의 작품처럼 농담이나 표면 질감을 이용한 ‘형식적 기법’을 실험하기보다는, 비교적 쉽게 인식되는 대상과 단순한 윤곽에 치중함으로써, 우리 주변의 이미지에 대한 공감을 부각시키려는 작가의 의도를 만나게된다.
곽남신의 작품은 언뜻 평면적으로 보이지만, 그림자처럼, 허다한 관객의 자기대입이나 해석의 층위를 위한 모호한 깊이를 갖는다. 무작정 열려있지도 않지만, 분명한 것도 없는 틈새의 존재는 시간과 공간 안에서 곽남신의 작품을 자리 잡아 주는 요소들이다. 눈에 익숙한 이미지들이지만, 때로는 복잡하게, 때로는 지극히 단순하게 나타나는 그의 표현은 자유롭다.
곽남신은 결정하기보다는 열어놓기를 원한다. 그의 평면적 인물들이, 뭉쳐진 사람들이,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포함할 수 있도록, 이질적인 형상을 가진 오브제의 부분적 결합이 구체적인 대상이 되지 않도록, 그는 늘 거리를 둔다. 완전한 형상과 분명한 내용이 가려진 그의 작품은 그런 점에서 일관되어 있다. 사회와 인간에 대한 애정은 거리를 두고, 소외된 그림자들은 서로 독자적 기호로 엉키고, 끌어당겨지고, 찢어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개념적으로 입체적인 그의 그림은 평면과 입체의 다면적 형태를 동시에 갖는 특이한 모습이라고 하겠다.

<기호로서의 실루엣, 사진과 같은 구조를 세우다>
그런 특징은 스프레이가 뿌려진 윤곽의 가장자리에 드러난 해체되어지는 선들에게서도 보일뿐 아니라, 특정 부위에 오브제를 붙인 구체적 인물에서도 나타난다. 곽남신 작품은 특이하게도 초현실주의 사진의 기호화과정처럼 반복과 여백의 활용(spacing)에 적극적이다. 실제 대상과 공간이 갖는 거리는 겹쳐지고, 애매해진 형상의 실제 깊이와 표면의 상실된 모양이 더해지는 과정에서, 생략된 재현적 공간 – 서로 겹쳐진 윤곽선들은 그들의 실제 거리를 전제하면서도 평면에선 공간 안의 거리감을 상실한다 – 대신, 새로운 깊이 즉, 작가가 대상에 두는 심적 모호함/애매함의 거리가 작동한다. 작가가 느끼는 조형적, 감정적 거리, 그곳이 곽남신 작품의 의미생산처가 된다.

실은 이번 전시 <바라보기>를 구성하는 많은 작품들, 부분적인 오브제와 결합된 <섹시걸> <멀리누기> 등과 윤곽선으로 나타난 많은 평면 작품들, 그리고 언어의 유희를 이용한 같은 작품들이 동시에 가리키는 존재는 바로 관찰자인 작가, 곽남신이다. 전시 제목처럼 바라보는 주체로서의 작가의 위치는 작품 속에서 다시 한 번 강조된다.
곽남신의 <바라보기>는 세상에 대한 소박한 시선이다. 작가는 인간의 삶에 대한 누를 수 없는 관심과 애정을 보인다. 그러면서도 그는 그것 안으로 자기를 던지는 몰입-형식적, 개념적- 대신, 공간과 깊이를 개입시킨 거리두기를 견지한다. 마치 초현실주의 사진의 기호화 과정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했던 여백(spacing)처럼, 곽남신은 그 거리를 시각화하고, 개념화시키는 것에 집중한다. 그 거리 속에서 관객들은 그들만의 시간과 이야기를 갖고 공간속을 경험하고 있다. 가장 평면적이지만, 넓은 유희의 공간을 열어놓은 작가의 여유가 관객에게 전이되고 있는 것이다.

Swimming in the ordinary, philosophical shadow

Kwak Nam-sin is an artist who has a warm and gentle personality.
Recently he is concentrating on works done on plane surface that reveal characters through silhouettes, moving beyond the genres of three-dimensional painting, installation art, and printmaking. The figures hidden inside the outline are very simple, but this exhibition consists of those simple that are a record of spectacles like his journal.

The aspect of visual media that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is the shadow, although it is easily ignored in everyday life. The shadow has unique functions in many paintings, movies, and photographs. The shadow that is revealed as only an outline on a plane – although it isn’t clear whether we can call it substance – is a sort of sign which has dual characteristics in that it cannot be separated from, and yet alienated from, the real entity.

Also, the shadow could be an attractive aspect revealing its freedom from the actual forms of real things by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letting the viewer remind and guess between the seeing and knowing. Being as a part that could draw an analogy of the whole body, the shadow satisfies two functions of ‘metonymy and metaphor’.) Also, another attractive aspect of the shadow is the fluidity of its images, depending on the light, time and physical environment. The shadow inspires the viewers to think about and guess between the ‘seeing’ and the ‘knowing.’ Although it is a part and a whole of the subject matter, the shadow satisfies the two functions of ‘metonymy’ and ‘metaphor’.

The artist Kwak Nam-sin, who expresses images through monochromatic silhouettes on plane, use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hadow. The essence of silhouette that doesn’t reveal the subject directly is found in the distance and the alienation that exist between the real thing and the shadow. Like the shadow, he is an artist who cannot be detached from society, people and images of reality. He has humanistic perceptions. Most of his works are images we can witness in our daily life and those images are not too different from general images that are reflected in the mass media and other indirect sources. Female characters in pornography on the Internet, people dancing or kissing, and people who are exercising or fighting are the subjects of his art.

However, the artist, who has an affective concern for the subjects, does not aggressively dig into them and keep a proper distance. The attitude of the artist keeping an emotional distance, modal distance and material distance from the subjects while expanding the meaning recognizes the ability of viewers to fill in the gap, which facilitates mutual interactions between the artist and the audience. He believes that the viewer could fill the space in between. The concept of art that all the works are ultimately ‘completed’ by the audience was established after the 1960s, owing to minimalism and conceptualism. However, most of the audience is still passive in front of the art work. Nevertheless, the images of hidden layers in simple silhouettes found in Kwak Nam-sin’s work structurally guarantee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Man Ray, who elevated surrealism as an art successfully through photography, often made Rayograph that can carve silhouettes and unique textures by the effect of light. Rayograph then evolved into photogram. It was a very unique technique that could express the shape of objet just by light and the trace of time, all of this without a camera. Although the degree of dark tone changes, the image making that is expressed only through the outline of black and white does not transmit specific reproductions like the camera. This means that the number of communicative and interpretative channels between the work, the artist and the audience can greatly expand. By extending the determining moment of optical images and by emphasizing vague images, Man Ray not only experimented with a greater possibility of images but also facilitated the viewers’ theorizing of the origin of more forms. The interjection of various interpretations hidden behind strange images is a virtue of Man Ray’s Rayograph.

Like the works of surrealistic artists Man Ray, the opus of Kwak Nam-sin leave a lot of room for interpretation to the audience. But, Kwak Nam-sin emphasizes empathy with the surrounding images by focusing on simple outlines and easy recognitive subjects rather than experimenting with the technique of forms using the shading of colors or texture of surface, as Man Ray did.
Kwak Nam-sin’s works, appearing flat as they may, are like the shadow, having a vague depth for various levels of interpretations for the audience. The existence of a niche that is not infinitely open nor definitive is a factor that makes Kwak’s works respectable in time and space.

The images are familiar, but his expression is wide-ranging, sometimes complex and sometimes simple. He prefers openness to decisiveness. He always keeps distance from the objets in order to let plane characters and a lump of people embrace a variety of contents and forms and not to let a combination of disparate parts of objets become specific subjects. Perfect figures and clear contents have been consistently blotted out in his works. His affection keeps a distance from society and human beings, and the alienated shadows get tangled and are pulled and torn. Therefore, his paintings, which are conceptually three dimensional, are multi-plane in form and have peculiar appearances.

Those peculiarities appear not only in the deconstructive lines that are revealed in the center of sprayed outline but also in the specific characters made of objets attached to specific parts. The works of Kwak Nam-sin are particularly emphatic about the use of repetitions and blank spaces, which are akin to the process of sign making in surrealist photography. The distance between the actual subject and space overlaps and in the process of intensifying the depth of vague forms and the lost appearance of the surface, the overlapped outlines lose the sense of distance. Instead, a new depth or the distance of mental vagueness of the artist towards the subject is activated. Artistic and emotional distances he feels is where his works produce meaning.

In fact, the works of this exhibition , many plane paintings represented by outlines such as , , and the work on word play all portray the artist Kwak Nam-sin as an observer. Like the title of his exhibition, Kwak’s status as a glancing entity is emphasized again in his works.
His reflects an innocent gaze toward the world. He shows irresistible concern and affection for human life. However, he doesn’t become preoccupied with a concept and form; instead he keeps a distance from the subject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space and depth. Like the spacing of surrealistic photography which was needed in the process of sign making, Kwak is concentrating on visualiz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distance. In that distance, viewers can have their own time and experience the space. Although it is flat, the placidity of an artist who has opened a playful space is being transmitted to the audience.

Kwak Nam Sin